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velog
- Java
- SvelteKit
- 2세대 암호화폐
- 점근 표기법
- nextjs
- 힙 정렬
- tailwindcss
- 리액트 훅 폼
- Bio-O-Notation
- 자료구조
- 3세대 암호화폐
- 프론트
-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 구조
- 우선 순위 큐
- 블록체인
- React Hook Form
- 리액트
- vscode
- 도커
- 스마트 컨트랙트
- 퀵 정렬의 성능
- svelte
- vite
- 계수 정렬
- webpack
- Nestjs
- Introduction to Algorithms
- 알고리즘
- 밸리데이션
- Today
- Total
목록TIL (6)
ki hyun's 개발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w8NRi/btrEdAwGCIs/sHt4hDawgMRxhHZ9xgJpgk/img.png)
TIL (Today I Learned) 2022.06.08 오늘 읽은 범위 3장. 3계층형 시스템을 살펴보자: 3.4 가상화 가상화란? 컴퓨터 시스템에서 물리 리소스를 추상화하는 것 가상화라고 한다면 크게 와닿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우리의 생각보다 가상화는 우리 주변에 존재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OS는 우리가 하드웨어를 의식하지 않더라도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기에 가상화 기술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OS가 등장하기 이전에는 하드웨어를 의식한 프로그래밍이 필요했고 이는 매우 복잡한 작업이었다. 하지만 OS 커널의 등장으로 하드웨어가 추상화되면서, 컴퓨터에 연결된 기억 장치나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교환이 하드웨어를 의식하지 않고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한번에 하나의 프로그램만 실행되는..
TIL (Today I Learned) 2022.05.24 오늘 읽은 범위 3장. 3계층형 시스템을 살펴보자: 3.3 웹 데이터 흐름 웹 데이터의 흐름 클라이언트 PC부터 웹 서버까지 1. 웹 브라우저가 요청을 한다 2. 이름 해석을 한다. 인터넷상의 주소는 IP라는 숫자로 표현되 있는데 이러한 숫자는 읽기도 기억하기도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읽기도 쉽고 기억하기도 편한 URL과 IP 주소를 매칭시켜서 사용하는데 이때 IP 주소를 찾아내는 과정이 이름 해석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6장에서 다룬다고 한다. 3. 웹 서버가 요청을 받는다 ❗️ 아파치에서는 기본적으로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로 나누어 처리를 분담하고 있다. 설정을 통해 다양한 처리 방식을 선정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자식 프로세스가 H..
TIL (Today I Learned) 2022.05.23 오늘 읽은 범위 3장. 3계층형 시스템을 살펴보자 프로세스와 스레드 프로세스 메모리 공간을 가지고 실행된다. 개별 처리 독립성이 높다. 개별적인 메모리 공간을 부여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생성시 CPU 부하가 높다. 따라서 멀티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앱에서는 프로세스 생성 부담을 낮추기 위해 미리 프로세스를 시작시켜 둔다.스레드 하나의 메모리 공간을 공유한다. 개별적인 메모리 공간을 부여해 줄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볍게 생성 할 수 있다. (생성 시 부하가 낮다) 메모리 공간을 공유하기 때문에 의도치 않은 데이터 읽기/쓰기가 발생할 수 있다. ⚠️ 프로세스가 메모리 공간을 공유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오라클 DB에서는 여러 프로세스가 '공유..
TIL (Today I Learned) 2022.04.14 오늘 읽은 범위 2장. 서버를 열어 보자 CPU Central Processing Unit의 약자 서버 중앙에서 연산 처리를 실시한다. OS에서 내리는 명령대로 작동한다. 메모리 명칭 그대로 기억 영역을 말한다. CPU 옆에 위치하며, CPU에 전달하는 내용이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처리 결과를 받는다. 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는 영구성이 없다. But, 매우 빠르게 액세스 할 수 있다. CPU 에도 자체적인 메모리가 있다. 메모리보다 빠르지만 용량이 작다는 단점이 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주로 장기 저장 목적의 데이터 저장 장소로 사용 자기 원반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물리 법칙으로 인해 메모리처럼 빠르게 액세스 할 수 없다. 최근에는 SS..
TIL (Today I Learned) 2022.04.14 오늘 읽은 범위 1장. 인프라 아키텍처를 살펴보자 인프라란? 구조 자체는 복잡하지만, 전문가에 의해 관리되고 있어 사용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인터넷 검색 시스템, 편의점의 계산대 등 모두가 IT 인프라 위에서 동작하고 있다. 인프라 아키텍처는 대부분 놀라울 정도로 닮아 있어 서로 거의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집약형 아키텍처 대형 컴퓨터를 이용해서 모든 업무를 처리하는 방식 💻 구성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 컴퓨터가 한 대뿐이기 때문에 컴퓨터가 멈추지 않도록 여러 장치가 되어있다. (이중화) 복수의 서로 다른 업무를 동시에 처리하기 위해 유한 리소스 관리가 필요하다. 대형 컴퓨터는 도입 비용과 유지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계기 지난번에 노마드코더에서 진행한 노개북에서 '클린코드' 를 완독한 적이 있었다. 노개북의 방식이 굉장히 마음에 들었고 평소 인프라에 관해 공부하고 싶은 마음도 컸던지라 이 블로그에서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 구조' 라는 책을 알게 되어 노개북의 방식대로 이 책을 완독하기로 하였다. 물론 그렇게 빡세게 할 생각은 없다.. 목차 1장 인프라 아키텍처를 살펴보자 2장 서버를 열어보자 3장 3계층형 시스템을 살펴보자 4장 인프라를 지탱하는 기본 이론 5장 인프라를 지탱하는 응용 이론 6장 시스템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구조 7장 무정지를 위한 인프라 구조 8장 성능 향상을 위한 인프라 구조 위 8장을 3주안에 독파할 예정이다. 물론 일이 바빠져 3주가 6주가 되는 기적이 일어날 수도.. 결론 그림으로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