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도커
- 프론트
- Java
- vite
- 점근 표기법
- velog
- 스마트 컨트랙트
- 알고리즘
- nextjs
- Nestjs
- 리액트 훅 폼
- 3세대 암호화폐
- 2세대 암호화폐
- Bio-O-Notation
- 힙 정렬
- 계수 정렬
- 우선 순위 큐
-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 구조
- 리액트
- Introduction to Algorithms
- svelte
- vscode
- React Hook Form
- SvelteKit
- 자료구조
- tailwindcss
- webpack
- 퀵 정렬의 성능
- 밸리데이션
- 블록체인
Archives
- Today
- Total
ki hyun's 개발블로그
[TIL] 2장 서버를 열어 보자 본문
반응형
TIL (Today I Learned)
2022.04.14
오늘 읽은 범위
2장. 서버를 열어 보자
CPU
- Central Processing Unit의 약자
- 서버 중앙에서 연산 처리를 실시한다.
- OS에서 내리는 명령대로 작동한다.
메모리
- 명칭 그대로 기억 영역을 말한다.
- CPU 옆에 위치하며, CPU에 전달하는 내용이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처리 결과를 받는다.
- 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는 영구성이 없다. But, 매우 빠르게 액세스 할 수 있다.
- CPU 에도 자체적인 메모리가 있다. 메모리보다 빠르지만 용량이 작다는 단점이 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 주로 장기 저장 목적의 데이터 저장 장소로 사용
- 자기 원반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물리 법칙으로 인해 메모리처럼 빠르게 액세스 할 수 없다.
- 최근에는 SSD라는, 물리적인 회전 요소를 사용하지 않는 디스크가 사용되고 있다.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개발을 시작하기 전 컴퓨터 부품에 관심이 많아 열심히 찾아본 적이 있었다. 그때 배웠던 내용들이 이 장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평소 서버를 배포하고 관리할 땐 소프트웨어적인 부분만 보다보니 이런 하드웨어적인 부분이 있다는 것을 계속 까먹게 되는데 이 장을 보고 확실히 서버란 무엇인지 알게 되는것 같다.
반응형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3장 3.4 가상화 (0) | 2022.06.08 |
---|---|
[TIL] 3장 3.3 웹 데이터 흐름 (0) | 2022.05.30 |
[TIL] 3장 3.1 ~ 3.2 프로세스와 스레드 그리고 커널 (0) | 2022.05.30 |
[TIL] 1장 인프라 아키텍처를 살펴보자 (0) | 2022.05.30 |
[TIL]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 구조를 읽기 시작하며 (0) | 2022.05.3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