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Nestjs
- nextjs
- React Hook Form
- 프론트
- 자료구조
- SvelteKit
- 블록체인
- Java
- 2세대 암호화폐
- 점근 표기법
- 리액트
- 계수 정렬
- svelte
-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 구조
- vscode
- 3세대 암호화폐
- 알고리즘
- velog
- 리액트 훅 폼
- webpack
- vite
- Introduction to Algorithms
- 밸리데이션
- tailwindcss
- 힙 정렬
- Bio-O-Notation
- 도커
- 스마트 컨트랙트
- 우선 순위 큐
- 퀵 정렬의 성능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큐 (1)
ki hyun's 개발블로그
스택 & 큐
스택에서는 가장 최근에 삽입된 원소가 삭제된다. 즉, 후입선출 정책을 구현한 것이다. 큐에서는 집합에서 가장 오랜 시간 동안 존재한 원소가 삭제된다. 즉, 선입선출 정책을 구현한 것이다. 🗂 스택 스택에서는 스택에 값을 추가하는 연산을 Push, 인자를 값을 삭제하는 연산을 Pop이라고 한다. 💡 이때 Pop은 인자를 가지지않고 가장 최근에 삽입된 원소를 제거한다. 💡 이 연산들의 이름은 카페테리아 식당에서 스프링으로 접시를 받쳐 올려주는 접시 스택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한다. 배열 S[1..n]으로 최대 n개의 원소를 가지는 스택을 구현할 수 있다. 배열은 가장 최근에 삽입된 원소를 가리키는 S.top을 속성값으로 가진다. S[1]은 스택의 맨 밑에 있는 원소를 나타내고 S[S.top]은 맨 위에 있는 ..
알고리즘
2022. 5. 30. 2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