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리액트 훅 폼
- 블록체인
- 밸리데이션
- 3세대 암호화폐
- SvelteKit
- 프론트
- React Hook Form
-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 구조
- Nestjs
- 힙 정렬
- svelte
- 퀵 정렬의 성능
- tailwindcss
- 도커
- vscode
- velog
- 스마트 컨트랙트
- 자료구조
- nextjs
- 점근 표기법
- Bio-O-Notation
- Introduction to Algorithms
- 우선 순위 큐
- 계수 정렬
- 2세대 암호화폐
- Java
- 리액트
- vite
- 알고리즘
- webpack
Archives
- Today
- Total
ki hyun's 개발블로그
마크다운 사용하기 본문
반응형
마크다운
마크다운(markdown)은 일반 텍스트 기반의 경량 마크업 언어다. 일반 텍스트로 서식이 있는 문서를 작성하는 데 사용되며, 일반 마크업 언어에 비해 문법이 쉽고 간단한 것이 특징이다.
-위키백과
마크다운 문법
1. heading
- Heading은 h1 부터 h6 까지 6가지의 스타일이 있다.
- 각 Heading은 #의 개수로 구분한다
# h1 ## h2 ### h3 #### h4 ##### h5 ###### h6
h1
h2h4h6
- h5
- h3
2. Line
- 라인을 추가하고 싶다면 언더스코어 세번을 입력하면 된다.
___
3. Text Attribute
Bold
원하는 단어를 별모양()으로 두번 감싸주면 볼드체가 된다
```*Bold**```
✔ 결과
Bold
Italic
원하는 단어를 별모양으로 한번 감싸주면 이탈릭으로 만들 수 있다.
*Italic*
✔ 결과
Italic
strikethrough
원하는 단어를 물결모양으로 두번 감싸주면 효과가 적용된다.
~~strikethrough~~
✔ 결과
strikethrough
quote
원하는 문장 앞에 >을 추가하면 된다
> quote
✔ 결과
quote
List
원하는 문장 혹은 단어앞에 - or * 을 붙여주면 된다(숫자를 붙이면 숫자 목록으로 만들 수 도 있다.
-item 1
✔ 결과
- item1
- item 1
- item 2
Link
원하는 단어 혹은 문장을 대괄호안에 url을 소괄호 안에 적으면 클릭 가능한 링크가 된다.
Click [here](https://example.com)
✔ 결과
Click here
4. Image
이미지를 추가하기 위해선 먼저 느낌표를 적고 대괄호 안에 Description을 적고 소괄호 안에는 이미지 링크를 추가하면 이미지가 추가 된다.
5. Code
인라인 코드를 작성 할때는 백틱하나 코드블럭을 만들땐 벡틱3개
✍ 마크다운 작성
`console.log("Hi")`
✅ 결과console.log("Hi")
✍ 마크다운 작성
```
Code Block
```
✅ 결과
Code Block
코드 하이라이트
원하는 언어를 하이라이트 하고 싶으면 벡틱뒤에 언어의 이름 작성
✍ 마크다운 작성
```javascript
let sumNumbers = (firstNum, lastNum) => {
return firstNum + lastNum;
};
sumNumbers(100, 200);
```
✅ 결과
let sumNumbers = (firstNum, lastNum) => {
return firstNum + lastNum;
};
sumNumbers(100, 200);
Check Box
✍ 마크다운 작성
- [ ] To Do
- [x] Work
✅ 결과
- To Do
- Work
반응형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깃허브 프로필 꾸미기 (1) | 2022.05.30 |
---|---|
VScode에서 Java 사용하기 (0) | 2022.05.30 |
Java 시작하기 (0) | 2022.05.30 |
Go 시작하기 (0) | 2022.05.30 |
Comments